아이의 부정적 행동이 강화되는 이유
아이들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반응을 통해 학습합니다.
특히 부정적인 행동을 했을 때 원하는 것이 이루어지는 경험을 하게 되면, 같은 행동을 반복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떼를 쓰면 부모가 원하는 것을 들어주거나, 삐쳤을 때 부모가 즉각적으로 관심을 보이면
그 행동은 더욱 강화됩니다. 아이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행동이 '마법의 스위치'가 되어 원하는 것을 얻는 효과적인 방법이 되는 것입니다. 부모의 반응이 아이의 행동을 강화하는 대표적인 사례는 '부정적 관심'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짜증을 내거나 소리를 지를 때 부모가 화를 내거나 혼을 내는 경우, 아이는 여전히 관심을 받고 있다고 느낍니다. 따라서 부모가 의도하지 않더라도 아이의 부정적인 행동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무관심 전략의 효과적인 적용 방법
아이가 부정적인 행동을 보일 때 가장 효과적인 대처 방법 중 하나가 바로 '무관심'입니다. 즉, 아이가 떼를 쓰거나 삐쳤을 때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조용히 기다리는 것입니다. 이 방법을 사용할 때 부모가 유의해야 할 점은 무관심을 일관되게 적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부모가 어떤 날은 무시하고, 어떤 날은 반응한다면 아이는 더욱 혼란을 느끼고 행동이 강화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밥을 먹지 않고 장난을 칠 때 부모가 계속해서 "밥 먹어야지"라고 말하거나 억지로 먹이려 하면 아이는 부모의 관심을 끌기 위해 더 강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모가 조용히 기다리고 아이가 배고픔을 느껴 스스로 먹도록 유도하면, 점차 문제 행동이 줄어들게 됩니다. 또한, 아이가 행동을 거부할 때 너무 많은 선택지를 주는 것은 오히려 권위의 상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 닦자"라고 말했을 때 아이가 거부하면, "싫구나, 그럼 엄마가 닦아줄까?"라는 반응보다는 "네가 닦아야 나갈 수 있어"라고 단호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시간이 지나면서 부모의 태도를 이해하고 결국 행동을 따르게 되는 것입니다.
무관심 전략을 사용할 때 중요한 것은 특정 행동에만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양육 태도에서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평소에는 아이의 떼를 무시하다가 특정 상황에서는 요구를 들어주면 아이는 혼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부정적인 행동을 통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도록, 부모는 처음부터 단호한 태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하지만 무관심만으로는 완벽한 해결이 어렵기 때문에, 긍정적인 행동을 보일 때 즉시 칭찬과 보상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혼자서 신발을 신거나 장난감을 정리할 때, "너 혼자 신발 신었구나! 정말 멋지다!"와 같은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면, 아이는 올바른 행동을 반복하려는 동기를 갖게 됩니다. 아이의 행동 문제는 단기간에 해결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일관된 무관심 전략과 긍정적 강화, 그리고 부모의 단호한 태도를 유지하면, 아이는 점차 자신의 행동이 원하는 결과를 가져오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고 긍정적인 행동을 습득하게 됩니다. 부모가 아이의 행동을 적절히 관리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인내심과 일관성이 필수적입니다.
아래는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 조선미 교수님의 육아에서 '무관심'이 중요한 이유에 대한 영상입니다.
관심있으신 분은 아래 더보기로 확인해보세요 :)
(더보기)
'임신&출산&육아&성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산부 미세먼지 마스크 필수착용, 어떤 마스크가 안전할까? (0) | 2025.03.24 |
---|---|
아이의 성장을 돕는 대화법 (1) | 2025.03.13 |
육아휴직 중 소득발생 (제한)기준은 얼마인가요? (1) | 2025.03.02 |
경제관념과 돈에 대한 올바른 가정교육 방법 (1) | 2025.03.02 |
임신 7주차 태아 특징 및 임산부가 조심해야 할 사항 (2) | 2025.03.01 |